Author: byeongkyu
-
SK텔레콤 유심기변 후 통신 안될 때 (No Service)
현재 아이폰을 메인 회선으로 사용하고, 두 개의 아이패드를 데이터 함께쓰기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아이패드를 변경하게 되면, 현재 꼽혀있는 유심을 뽑아서, 새로운 아이패드에 꼽으면 별다른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었는데, 올해 9월부터 약간의 정책이 바뀌었다고 합니다. 결론으론, 예전 아이패드에서 유심을 뽑기 전, 반드시 해당 기기의 전원을 정상적으로 종료해야 합니다. 전원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이후에, 유심을 뽑아 새로운 기기에…
-
Install Xenomai3 on Ubuntu 22.04LTS
Xenomai는 기존 Linux 시스템의 커널과 병행하여 실행되며, Hard Realtime Task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웍입니다. 설치 방법도 간단하고, POSIX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개발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Xenomai 설치 방법을 검색해보면, Xenomai2 버전과 예전 Linux 버전을 기준으로 설명해놓는 것들이 많고 (그만큼 인기가 없다는 얘기…) Xenomai3라고 해도 예전 iPipe를 사용하는 방법이 위주라서, 가장 최신 버전으로 Xenomai를 설치하는 방법을…
-
Ubuntu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정보 확인 방법
Ubuntu에서 ifconfig, ip 등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현재 연결된 상태 및 IP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카드의 디바이스명이나 연결된 인터페이스 이름을 확인하려면 다음의 명령으로 가능하다. 여러 개의 Ethernet 포트가 있고, 서로 다른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특정 디바이스에만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위와 같이 입력하면, 현재 시스템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리스트와…
-
Dell XPS17 9700 배터리 교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노트북이 XPS17 9700인데, 2020년 11월에 샀으니, 이제 대략 2년 8개월 정도 사용한듯 합니다. 얼마전부터 배터리 관련해서 경고가 계속 발생하고, 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기 시작해서 거슬렸는데… 델 서포트를 2011년 이후에 연장을 하지 않은 관계로, 유상 수리만 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기존에도 SSD 추가나, 램 추가 등등의 작업들은 직접 해놨던 터라 일단 배터리를…
-
Ubuntu 22.04 한글 입력 설정
fcitx5, fcitx5-hangul 설치 Setting > Region and Language > Manage Installed Langugages 한글입력 방식을 IBUS에서 fcitx5로 변경. 재부팅. 메뉴 상단에 키보드 표시가 있는지 확인 키보드 표시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Configure 선택하여 설정창 진입 왼쪽 사용할 입력 방식에 다음과 같이 추가. Hangul이 안보이면, 오른쪽 하단, Only Show Current Language를 클릭 해제. 다음으로 한영키 설정. 영문환경에선 한영…
-
docker 내부에서 GUI, GL 프로그램 실행
docker 내부에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할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먼저 host 머신에서 docker가 x윈도우에 접근 가능하도록 권한을 설정합니다. 다음으로 docker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다음과 같이 옵션을 추가합니다. 옵션을 설명하면 위와 같이 옵션을 설정하고 실행 후, 내부에서 GUI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됨. 그외 gtk 관련 프로그램도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삽질 기록 1)…
-
docker 내부에서 bash 자동완성 기능 활성화
docker를 설치하고, 내부로 진입해서 이런저런 작업을 진행할 때, bash의 자동완성 기능이 없어 매번 타이핑을 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예로 apt install 후 패키지명을 수동으로 전체 입력해야 하는 것과 같은 점이요. bash-completion이 설치되지 않아서인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시면 쉽게 해결이 가능합니다. 이제 apt 명령 이외에도 bash 쉘에서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WSL2에서 브릿지모드 사용 시 업로드 속도 저하 이슈 해결
업데이트: 여전히 브릿지 모드에선 문제가 발생하는 듯 합니다. 서브 머신과 호스트 머신에서 동시에 인터넷 접속을 할 경우에 서로 충돌이 발생합니다. WSL2의 서브 머신에서 외부IP를 사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카드에 브릿지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포스팅했습니다. 적용 시 문제로는 업로드 속도가 무차별로 저하되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으론 디바이스 설정에서, 새로 생성된 Virtual Ethernet Adapter의 옵션에서 Large Send Offload Version…
-
WSL2에서 웹캠 연결하기 (커널 빌드 필요)
WSL2에서 usb-ipd를 이용해서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만, 현재의 WSL2 기본 커널에선 웹캠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웹캠을 WSL2에서 사용하기 위해선 커널을 재빌드해줘야 합니다. Ubuntu를 실행하고, 먼저 빌드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해줍니다. 다음으로, 커널 소스를 가져옵니다. 현재 릴리즈된 최신 버전은 5.15.90.1입니다. 관련된 Repository는 https://github.com/microsoft/WSL2-Linux-Kernel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 커널 옵션을 가져와서 복사해놓습니다. 커널 빌드 옵션을 조정하기 위해서…
-
WSL2에서 USB 디바이스 연결하기
참고링크: https://github.com/dorssel/usbipd-win,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connect-usb WSL2는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일종의 가상머신입니다. 실제 윈도우에 연결된 USB 디바이스 (아두이노보드, 웹캠 등)를 WSL2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USB/IP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usb-ipd를 사용하면 됩니다. [v] 윈도우에서 usbipd 설치 먼저 설치를 위해서, 커맨드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winget은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 매니저입니다. 위와 같이 명령을 입력하고 나면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v] Linu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