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byeongkyu

  • WSL2에서 Network Bridge 기능 사용

    이전 블로그에서 정리했던 내용인데, 윈도우를 포맷한 후 새로 테스트 해본 결과 정리. 별다른 차이 없이 잘됨. 덧#1: 현재 원인은 잘 모르겠는데, 아래와 같이 브릿지로 설정을 해놓으면, 인터넷 업로드 속도 및 노션 등 클라우드 서비스의 속도가 미친듯이 느려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구글링 해보니, 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다수있네요. 버그인듯한데… 방법을 찾아봐야겠습니다. WLS2의 서브 머신들의 네트워크는 내부 프라이빗망을…

  • WSL2에서 CUDA 설치

    참고림크: https://docs.nvidia.com/cuda/wsl-user-guide/index.html WSL2로 설치한 Ubuntu에서 CUDA를 설치하면 GPU 가속에 관련한 개발을 진행 할 수 있다. 물론 윈도우에서 NVIDIA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되어 있어야 함. https://www.nvidia.com/Download/index.aspx. 설치방법은 위 링크를 참고. 권장된 방법대로 WSL-Ubuntu 패키지를 이용한 설치 방법을 사용한다. Ubuntu를 실행한 후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확인. 완료.

  • WSL2설치

    참고링크: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 현재 개발환경: Windows 11 Pro 22H2 설치를 진행하기 위해 커맨드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되고, 다음과 같이 Ubuntu 22.04까지 설치가 완료됨. 재부팅 필요. — 시작메뉴에서 Ubuntu 확인 가능. 추가로 다른 버전의 Linux를 설치하고 싶다면, Microsoft Store를 통해서 설치 진행한다. 처음 실행 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고 나면 Ubuntu가 정상적으로 실행됨을 볼…

  • 하나의 디스크에 여러가지 버전의 Ubuntu 설치하기

    ROS를 사용하여 개발을 하다보니, ROS의 버전 파편화 덕분(?)에 Ubuntu의 버전을 달리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현재 ROS2의 최신 LTS 버전은 Humble로 Ubuntu 22.04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ROS1의 경우 최종 LTS 버전이 Noetic으로 Ubuntu 20.04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두개의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선 두 개의 Ubuntu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도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개발 시에 불편한 점이…

  • Windows11 더많은 옵션 메뉴 비활성화

    윈도우11로 판올림하여 사용하면서 불편한 부분이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 기존 메뉴가 다 나타나는게 아니고 항상 “더 많은 옵션”을 눌러야만 보이는 점입니다. 이를 비활성화 하기 위해선, CMD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그런 다음, explorer.exe를 강제 종료합니다. 다시 explorer.exe를 실행해 줍니다. 이제 확인해보면, 더 많은 옵션 메뉴가 사라지고 모든 메뉴가 잘 보이는 것을 확인할…

  • 윈도우11 설치 시 로컬 계정 사용

    아주 간만에 윈도우를 새로 설치해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듀얼부팅으로 사용하던 리눅스에서 USB 메모리를 지운다고 했던 것이 윈도우 파티션을 아주 깔끔하게 지워버리는 사고를 치는 바람에… 복구 USB 스틱을 만들고, 윈도우 설치를 진행하는 도중에 아무 생각없이 live 계정과 연결하도록 하였는데, 이게 자꾸 이상하게 꼬이는 현상을 보입니다. 기존 User 홈 폴더에 Desktop / Documents / Downloads / Videos…

  • Steam Desk 구입 및 SSD 교체

    스팀덱 구입은 거의 한달 전이었는데, 사 놓고 한 두번 켜본 다음 방치 수준이었습니다. 가장 용량이 작은 64GB 모델을 구입했고, 어짜피 SSD를 교체하려고 마음 먹은지라, SSD가 오기 전까지는 별다른 할 일이 없어서… 교체 난이도는 너무나 낮습니다. 몇개 나사 풀고, 그냥 교체하면 끝인거라, 10분 정도 걸린듯 하네요. 구매했던 1TB SSD가 도착을 했고, 교체 방법까지 상세히 적혀져 있는…

  • Cockpit 설치 및 설정

    Cockpit은 웹 기반의 리눅스 서버 GUI 도구 플랫폼입니다. 보통 ssh로 접속하여, 이것저것 터미널 명령어를 이용해서 설정 및 사용도 가능하지만, Cockpit을 사용하면 웹 기반의 GUI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합니다. 설치도 매우 간단합니다. Ubuntu에서도 쉽게 apt를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실행은 따로 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서비스로 등록되어 부팅 후에 자동 실행됩니다. 기본포트는 9090으로 설치후 https://localhost:9090으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 KakaoTalk 설치 on Ubuntu 22.04

    카카오톡을 좋아하진 않지만, 몇몇개의 오픈 채팅방과 타기관과의 협업에 소통 창구로 카카오톡이 쓰이는 관계로 메세지를 확인하는 편입니다. 아이폰만으로 대응하기엔 살짝 피곤한 부분이 있어, Ubuntu에서 설치할 방법을 찾아보다가, Wine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여, 설치를 해봅니다. 먼저 Wine을 설치합니다. 현재 최신 버전은 8.0이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v] Wine Repository 키 등록 및 Repository를 apt 소스 리스트에 추가…

  • NVIDIA Container Toolkit 설치

    NVIDIA Container Toolkit를 설치하면 Docker에서도 Nvidia 관련 툴킷을 사용 가능. 몇가지 선행 조건이 필요함. nvidia-docker를 설치해야 하므로, 먼저 Repository에 대한 GPG Key 등록하고, apt 소스 리스트에 Reposity 등록 완료되었으면 설치 진행. 설치 완료 후, docker 재실행.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테스트 완료.